팥죽 먹는 작은설 동지(동짓날)는 1년 중 해가 가장 짧은 날
1년 24절기 22번째 절기인 동지는 팥죽 먹는 작은설이라 불리고 동짓날을 보내면 비로소 다사다난했던 한 해를 마무리하는 기분이 들지요
요즘은 동지보다 크리스마스를 보내며 한 해를 보내는 기분이 더 들기도 하지만 동지는 우리 전통문화에 빼놓을 수 없는 절기임은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
동지는 태양이 적도 이남 23.5도의 동지선(남회귀선), 황경 270도의 위치에 있을 때를 말하고 양력 12월22일이나 23일 무렵입니다(2023년은 동지는 12월 22일)
양력으로 동지가 음력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라고 한다는데 올해는 애동지라고 불러야겠네요
동지를 작은설이라 부르고 태양의 부활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설 다음 가는 작은설로 대접하여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동지 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 라는 말이 풍속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동짓날에 동지 팥죽, 동지 두죽, 동지시식이라는 팥죽을 먹는 오랜 관습으로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찹쌀로 단자를 만들어 넣어 끓인 것입니다
단자는 새알 크기로 만들어 새알심이라고 부르고 팥죽을 다 만들면 먼저 사당에 올리고 각방과 장독, 헛간 등 집안 곳곳에 담아 놓았다가 식은 다음에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옛날에는 팥죽을 끓이면 온 동네 사람들에게도 나누어 주는 풍습이 있어 이 집 저 집 팥죽을 주고받다 보면 어느새 온 동네 모든 집 팥죽을 맛볼 수 있기도 하였답니다
팥은 붉은색으로 음귀를 쫓는 효과가 있다고 믿었으며 민속적으로 널리 활용되었는데 전염병이 유행할 때는 우물에 팥은 넣으면 물이 맑아지고 질병이 없어지며 사람이 죽으면 팥죽을 쑤어 상가에 보내는 관습이 있었으니 상가에서 악귀를 쫓기 위함이라 합니다
새집에 이사 갈 때에도 팥밥을 하여 들이거나 팥시루떡을 나누어 먹는 풍습도 이러한 의미가 있는 전통문화라 볼 수 있겠네요
동짓날 날씨가 온화하면 다음 해에 질병이 많다 하고 눈이 많이 오고 추우면 풍년이 들 징조라고 전해지는데 이러한 구전도 경험을 통한 퉁계에서 전해지는 말이니 무조건 무시할 수는 없어 보이는 말이네요
24 절기와 4계절 구분
24 절기는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에 따라 1년을 대략 15일 간격으로 계절을 구분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절기는 사계절아 뚜렷한 우리나라의 특성에 더욱 잘 맞는 것 같습니다.
태양의 황도 위치에 따라 조금씩 변동되므로 양력 날짜의 경우 해마다 거의 같은 날짜이고 음력은 매 년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11월 초 입동을 시작으로 2월 초 입춘 전까지 겨울에 해당되는데 이제 대설(12월 초)을 맞이할 즈음이니 본격적인 겨울에 들어서게 되고 동지를 지나며 겨울이 깊어 나는 것이지요
작은설 동지팥죽 많이 먹고 모든 악귀는 쫓아내고 행복하게 한 살 더 먹으시기 바랍니다
2024년 공휴일 & 달라지는 것
2024년 갑진년은 육십 간지의 41번째인 로 푸른 용의 해(청룡)를 의미한다고 하네요
2024년 갑진년 공휴일 & 달라지는 제도를 참고하세요
2024년 달라지는 제도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있으니 알아두면 좋은 정보가 될 것 같습니다
- 최저시급 9,860원
- 독거노인 돌봄 서비스 월 20시간으로 확대
- 0세 자녀 양육 가구 부모급여 월 100만 원 지급
-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육아휴직 사용 시 육아휴직 기간 최대 18개월
- 국가기술자격시험 연 최대 응시료 50% 감면
- 7급 이상 국가공무원 시험응시연령 18세로 하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