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화성 방화수류정 용연의 설경
안녕하세요? 수원 화성 방화수류정에도 눈꽃이 내려앉아 설경의 진수를 보여줍니다. 사진은 산비탈이 지인이 촬영한 것이고 혼자 보기 아까운 자연이라 포스팅하여 공유해 드립니다.
가까지 머물고 계시는 구독자님들은 유네스코 문화유산인 수원 화성 나들이와 함께 방화수류정에도 들러 보시면서 유유자적해보시는 것도 의미 있는 휴식이 될 것이라 생각해 봅니다.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에 따르면 방화수류정은 수원화성의 네 개의 각루 중 동북각루의 이름이고 1794년(정조 18) 수원 화성을 축조할 때 화성의 동북쪽에 군사지휘소부로 만들었던 각루로 화성의 복수 문인 화홍문의 동측 구릉 정상 즉 용연 남측에 불쑥 솟은 바위 언덕인 용두 위에 있습니다.
각루의 이름은 중국 송나라 시인인 정명도의 시 중 운담풍경근오천,방화수류과전천에서 따왔다고 하며 현판의 글씨는 근대의 서예가 김기승이 썼고 2011년 3월 3일에 보물 제1709호로 지정되었고 수원시청에서 관리하고 있다고 합니다.
수원화성 방화수류정은 1794년(정조18년)9월4일 진시에 터 다지기 공사를 착수하여 10월 4일 묘시에 정초를 한 후 기둥을 세우고 7일 오시에 상량하였으며 10월 19일에 완공하였습니다.
화성 성곽 동북쪽 모퉁이에 솟아있는 바위 위에 자리한 방화수류정은 원래 화성의 동북쪽 군사지휘부인 동북각루로 만들었습니다.
성곽 아래에 있는 용연 등 경관이 좋은 위치에 자리하였기 때문에 단순히 군사시설로만 활용하지 않고 경치를 조망하는 정자로의 역할도 겸하였습니다.
방화수류정은 건물의 형태가 불규칙하면서도 조화를 이루고 주변 경관과 어울림이 뛰어난 건물로 조선시대 정자 건물의 높은 수준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각도에서 조망해본 방화수류정의 모습이고 아름다운 설경과 연못에 투영된 정자와 나무들이 더욱 겨울 경치의 운치를 더하고 있습니다.
방화수류정은 정조와 관련된 많은 역사적 사실을 간직하고 있는 각루로서 군사적 목적은 물론 정자로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조영함으로써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지형과 지세를 고려한 독특한 평면 및 건물의 형태와 구조는 18세기 정자 건축의 뛰어난 기술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 하겠습니다.
수원화성 관광지,문화유적지로 유네스코 문화유산이고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한 번쯤은 찾아볼만한 곳이라 생각하여 산비탈이 지인의 사진 자료를 참고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사적 제3호 수원화성은 1796년 축성된 읍성의 하나이고 정조는 1789년(정조 13년)에 사도세자의 무덤인 영우 원을 수백 년간 수원도호부가 있던 화산(지금의 화성시 안녕동에 있는 융건릉)으로 옮겨 현륭원이라 개명하고 수원 도읍을 새 장소인 지금의 팔달산 아래로 옮기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수원부로 부르던 고을 명칭을 화성으로 고쳐 부르도록 하여서 이때부터 줄곧 수원은 화성이란 이름으로 사용되었으나 1895년 지방 관제 개편 과정에서 다시 수원군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습니다.
수원부로 옮기고 정조 17년(1793)부터 화성 축조가 본격적으로 준비되어 이듬해 정월부터 시작해 2년 반만인 1796년에 완성을 보게 되었습니다.
성문은 동서남북에 4개가 있는데 북문이 장안문이고 반대 남쪽이 팔달문이며 동서에 청룡 문과 화서문이 있으며 남북 문은 중층 문루로서 도성 문루에 버금가는 규모와 형태를 갖추고 있습니다.
수원화성 방화수류정 설경을 소개하려니 그래도 수원화성과 방화수류정의 유래는 알고자 하여 민족문화 백과를 참고하여 자료 정리를 해보았고 수원화성 둘레길, 박물관 등 함께 둘러보고 좋은 사람들과 좋은 추억 많이 만드시기 바랍니다.
수원화성 방화수류정 용연 초가을 사진 업데이트 하니 겨울 모습과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자랑스런 대한민국 가볼곳이 너무도 많은 금수강산이며 사계절이 뚜렸한 우리나라는 어디든 네 번은 가보아야 제대로 보았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수원화성 방화수류정 겨울 설경의 모습과는 많이 다른 초가을 모습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