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식물관리사 약용식물학 본초(本草),중국의 본초학

 

본초(本草)

 

[정의]

 

본(本) - 나무뿌리 형태에서 근본

초(草) - 풀에서 상형된 풀초

 

한의학 약물중에 초본식물과 목본 식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문헌에 기록된 한약재 수는 약 6,000여 종이며 인간의 치병,약용에 사용되는 것이 500여종이다.

 

약용 한약재 500여종 중에서 85%는 식물이며 나머지 15%는 동물과 광물이다.자연의 천연산물인 식물,동물,광물 중 인체 질병치료에 있어서 원형대로 건조,절단하여 치료제로 사용하는 모든 약재를 말한다 (약용천연산물)

 

초본목피뿐만 아니라 동물성,광물성 약도 포함되어 있으나 대다수 초근목피로 되어 있다. 본초는 한약재라는 의미 이외에도 전통적인 본초 서적을 의미할 때도 사용된다.(신수본초,증류본초)

 

중국의 본초학(本草學)

 

[기원 및 발달과정]

 

제1기           제2기          제3기        제4기

전본시기      초창기         최성기   약리설 주체

선주시대  한진시대         증류본초    금원이후 

 

[신농경본초경]

 

1. 동양에서 약에 관한 가장 오래된 문현

2. 신농 : 전설상의 인물(하루에 100가지 약초의 효능결정)

3. 신농 : 동양에서 본초의 창시자(신농본초경에 기재함)

4. 현재도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는 사실들이 수록

 

[한.진시대]

 

1. 화타,이귀지,오보 등이 약용식물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함(6세기초 양나라) 본초경집주 : 양나라 도홍경(명의별록과 본초경의 내용 수록)

 

약물 730종에 대해 수록되어 종류가 증가됨(본초학에 있어서 약물의 자연분류법의 효시) 약물의 채취시기,저장,보관,진위감별,포제방법,제약규범 등에 대한 설명 일관적으로 되어 있슴

 

2. 7세기의 당나라,개보상정본초,개보중정본초 : 고대의 의서들을 정리하여 재발간,경사증류비급본초 : 당신미가 편찬한 종합 약물학 서적

 

 증류본초 : 중국 송시대를 전후하여 국가에서 몇차례 수정,조선시대 본초교과서로 사용,허준의 동의보감에 자주 인용

 

● 약용식물

 

식물중에서도 전체 또는 그 일부분이 사람의 인체나 기타 동물의 생체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지니는 것 또는 그런 긍정적인 효과를 지니고 있을 거라는 생각에서 사용되는 것 또는 지금 약재로 쓰이고 있거나 건강관리 예방에 돋 이용이 가능한 것 또는 유효성분이 과학적으로 규명된 자원식물이다.

 

● 한국의 본초학(本草學)

 

1. 고구려시대

 

(1) 의방 : 752년 당나라의 외태비요방(오수유,모과를 사용)

(2) 고구려인이 본초에 대한 지식이 높았다고 추정(지리학적 중국의 영향)

(3) 평원왕 3년(561년) : 본초서 수입(오나라의 지총이 고구려를 저쳐 일본까지 건너가서 귀화함)

(4) 신농본초경집주 : 양나라 도경이 편찬,고구려 인삼이 기록되어 있으며 지금의 만주지역에 해당하는 고구려 땅에 인삼이 자생하고 있슴을 알려주고 오래 전부터 소중한 약재로 취급되어 온 것이 확실시 됨

(5) 명의별곡 : 양나라 도홍경이 편찬,인삼의 뿌리는 길고 방풍뿌리와 비슷하고 맛은 달고 잎은 삼출 또는 오출이라 함

( 후세 사람들을 위해 외부형태학적인 기술을 함 )

 

2. 백제시대

 

(1) 약부라는 관부를 두고 채약사라는 관직을 둠

(2) 체계적인 약용식물의 감별과 채취,채취시기등의 약초에 대한 전반적인사항을 연구하는 전문인니 있었던 것으로 봄

(3) 지리적 입지 여건상 덕유산,백양산,계룡산,속리산 등지에 많은 생약자원이 분포 백제 인삼의 우수성을 입증

(4) 신농본초경집주 : 백제 인삼의 외형은 가늘고 길며 뿌리는 딱딱하고 유백색을 띄는 양종이라고 수록해 백제 인삼의

우수성을 입증

(5) 백제집성방 : 백제 본초학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의서가 일본에 수출한 증거가 됨(중국 진나라의 갈흥이 편찬한 주

후방 6권의 영향을 받아 저술)

 

3. 통일신라시대

 

(1) 신라시대 : 지리학적으로 본초서 도입이 어려운 상황(신라시대 고유의 상약 발전으로 삼국중 본초 발전이 가장늦음

(2) 신농본초경집주, 신수본초 : 신라의 약재가 소개되지 않음

(3) 신라법사방 : 통일신라때의 고유한 의서(약을 복용시 주문과 몸가짐에 대한 설명)

(4) 법사비밀방 : 말벌의 봉소인 노봉방(말벌집)을 기재

(5) 체계적인 의사의 양성 : 신문왕 의학의 설치

 

4. 고려시대

 

(1) 최고의 의료기관 : 전의사,봉의서(귀족 지배층의 건강관리)

(2) 서민을 위한 치료시설 : 동서대비원, 혜민국

(3) 의학 교육제도의 확대 : 과거제도

(4) 구선활인십방, 향약구급방 : 많은 의서중 현존하는 최고의 의서

(5) 향약(우리나라 약) : 고려시대의 독창성 발휘, 중국산,국내산 표기 시초

 

5. 18세기 이후

 

(1) 이제마 : 다년간의 임상실무와 학문연구(1894년 동의스세보원 저술)로 사상의학이라는 독창적인 의학이론을 수립

(2) 일본 식민통치 : 1910년 이후 36년간 의료제도와 한의학의 말살 위기

멸종위기의 희귀종 산작약 꽃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