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Let's go! Happy together!! 산비탈 사는 이야기 산비탈입니다.
산비탈이 오늘은 약용식물 이야기 중에 약물 활용 시 금기사항 및 약용식물 활용의 민간 식이요법에 대해 공부해 보고자 합니다.
■ 약물 활용 시 금기사항
1. 배합금기
1. 두 가지 이상의 약재를 배합하면 약재의 독성이 강해 지거나 심한 부작용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음으로 주의해야 합니다.
- 끼무릇, 하눌타리 열매, 패모, 백급 <-> 오두
- 듬북, 버들옻, 팥꽃나무 꽃, 감수 <-.> 감초
- 함박꽃, 단삼, 인삼, 너삼, 현삼, 더덕 <-> 박새 뿌리
- 오두 <-> 가위 톱, 무소뿔
- 유황, 삼릉 <-> 망초
- 수은 <-> 비상
- 파, 부추 <-> 꿀
약성이 약해지는 배 합금 기약
- 오독도기 <-> 밀타승
- 솔뿌리 혹 <-> 식초
- 고슴도치 껍질 <-> 도라지, 맥문동
- 생강 <-> 속성은 풀
2. 식물성 금기약
오두, 부자, 천남성, 끼무릇, 파두, 팝곷나무꽃, 박새 부리, 버들옻, 쇠무릎 풀, 주염나무열매, 나팔꽃 시, 후박, 복숭아씨, 모란 뿌리 껍질, 매자기, 잇꽃, 용뇌, 아욱 씨, 봉출, 마늘 등
3. 광물성 금기약
신석, 석웅황, 자황, 수은, 유황
4. 동물성 금기약
가뢰, 지네, 우황, 사향
5. 상극되는 음식물의 해독법
- 중독자는 우선 토하게 하고 위를 세척하는 것이 상책임
- 해독 요법을 쓰는데 무슨 음식이나 약물에 중독되었을 때 무조건 검은콩을 한 줌 푹 삶아 그 국물을 마시게 하거나 검은콩과 감초를 같은 비율로 섞어 삶아 그 물을 마시게 합니다.
- 최상의 해독제인 마른 명태 서너 마리를 두들겨 물에 푹 고아 고금 간을 하지 않고 마시게 합니다.
■ 독극약 및 극성 약
1. 독약 5종 세트 - 웅황, 자황, 경분, 신석, 예석
2. 극약 5종 - 부자, 여로, 파두, 만타 나화, 오두
* 독초 구별법
- 생김새나 빛깔이 불쾌감을 줌
- 식물에 상처를 내면 불쾌한 냄새나 즙액이 나옴
- 피부에 발라보면 피부가 가렵거나 따갑고 물집이 생김
- 혀 끝에 대오 보면 타는 것 같은 자극이 생김
- 역겹고 안 좋은 냄새가 남
- 벌레 먹은 흔적이 있으면 독초가 아닌 것으로 구별할 수 있음
■ 약용식물과 민간 식이요법
- 가래 - 비파잎, 천화분, 패모, 질경이, 감초, 천문동, 백지, 맥문동, 반하, 도라지, 대추, 인삼, 감초, 범부채
- 간경변증 - 마늘, 미나리, 옥수수, 질경이
- 간염 - 결명초, 댑싸리, 도둑놈의 지팡이, 음나무, 미나리
- 간질 - 석창포, 울금, 백복신, 산조, 마늘
- 감기 - 마늘, 생강, 방풍, 검정콩, 도라지, 오미자, 뽕나무
- 고혈압 - 쑥, 살구, 마늘, 진교, 익모초
- 구역질 - 부추
- 근육통 - 엄나무, 목방기, 결명초, 뽕나무
- 기관지염 - 쑥, 백합, 살구나무, 대추, 감초, 호박
- 기침 - 패모, 지모, 도라지, 백지, 마늘
- 녹내장 - 도둑놈의 지팡이, 결명초, 고삼
- 담낭결석, 신장결석, 방광결석 - 옻나무, 질경이
- 당뇨병 - 마늘, 삼백초, 쇠무릎지기, 생지황
- 탈모 - 초피나무, 보골지, 뽕나무
- 대상포진 - 시호, 당귀, 물푸레나무
- 대장염 - 물푸레나무, 할미꽃, 오이풀, 도둑놈의 지팡이, 애기똥풀, 감초, 양귀비
- 동맥경화 - 결명초, 구기자, 적하수오
- 백내장 - 익모초, 더덕, 구기자, 쇠무릎, 결명자
- 변비 - 뽕나무, 마늘
- 비만증 - 팥, 맥문동, 반하, 인삼, 감초, 대추
- 산모의 젖이 적을 때 - 포공영, 당귀, 산약, 향부자, 상추씨, 감초
- 생리통 - 익모초, 미나리, 단삼, 당귀, 백작약, 적작약, 향부
- 설사 - 마늘, 나팔꽃, 오이풀, 미나리, 가시연꽃
- 숙취해소 - 칡, 당근, 시금치, 사과, 대나무 잎
- 습진 - 애기똥풀, 석창포
- 식은땀 - 뽕나무, 부추
- 신경통 - 마늘, 목방기, 결명초, 쑥, 율무, 감초, 생강
- 악성종양 - 당귀, 작약, 천궁, 지치, 감초, 인동, 대황
- 월경불순 - 쇠무릎지기, 생지황, 미나리, 검은콩, 당삼
- 위궤양 - 황기, 컴프리, 작두콩, 옻나무, 결명초, 감초, 애기똥풀
- 위하수증 - 황기, 결명초, 택사
- 소화불량 - 마늘, 산약
- 이명증 - 광나무, 석창포, 자석, 방풍, 강활
- 이질 - 작약, 부추, 자리공
- 임신 부종 - 택사, 뽕나무, 적봉령, 대추, 마늘
- 자궁탈출 - 도둑놈의 지팡이, 사상자, 질경이, 황기, 승마
- 저혈압 - 황기, 대추, 검은콩
- 정신분열 - 석창포, 용담, 시호, 대황
- 종기 - 천마, 부추, 호장근
- 조루 - 은행, 부추
- 축농증 - 연꽃, 천궁, 결명초
- 충치 - 생강, 마늘, 부추
- 치조농루 - 작두콩, 삼지구엽초, 더덕
- 편도선염 - 천문동, 현삼, 맥문동, 민들레
- 풍한천 = 은행, 마황, 소자, 강제 반하, 뽕나무
- 피부병 - 뽕나무, 쑥, 범꼬리, 감초, 도라지, 인삼, 황기, 천궁, 방품, 계피, 당귀, 백지
- 피부 트러블 - 삼백초, 은행
지금까지 약물 활용 시 금기사항과 민간 식이요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우리 주변에 흔히 보이는 거의 모든 식물이 약용식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들판을 다니며 이름 없는 잡초들을 바라볼 때에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게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약용식물로 함께 사용하면 그 좋은 점이 반감되고 때로는 독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약용식물을 실제 적용할 때에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 조제하여 사용할 것을 강조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