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운용보수 기타비용 + 매매 중개수수료 가장 저렴한 운용사

 

상장지수펀드(ETF) 거래에는 펀드를 운용하는 운용보수, 기타비용, 매매중개수수료 등 비용이 발생하는데 총 비용 비율에 따라 장기투자 상품인 연금계좌 수익률에 큰 영향이 있는바 ETF 운용 총비용이 가장 저렴한 자산운용사는 어디인지 조사해 보겠습니다

 

주식투자자라면 개인연금,IRP, ISA 계좌에 누구나 미국S&P500, 나스닥100 지수추종 상장지수펀드(ETF)하나쯤은 포트폴리오에 담고있을 것입니다

 

최근 개인연금, IRP, ISA 계좌에서 자산배분하여 운용하는 국내상장 해외(미국) 상장지수펀드 분배금에 대해 배당소득세를 부과하는 제도 변경으로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미국 S&P500, 미국나스닥100 등 분배금을 각각 30.8%, 71.2%나 일방적으로 삭감하여 지급하여 해당 자산운용사 ETF 매도하고 다른 자산운용사 상장지수펀드(ETF)로 갈아타는 투자자들이 급증 하였습니다

 

기재부에서 추진하여 국내상장 해외 ETF분배금에서도 배당소득세 15.4%를 공제하겠다는 것이고 이는 과세이연 효과가 없어지고 연금 수령시 이중과세가지 부담하게 되는 최악의 개악인 정책입니다

 

그동안 수년간 시세차익과 분배금 배당소득세 과세이연하고 연금수령시 저율과세(3.3 ~ 5.5%)하여 복리효과의 극대화 상품이라고 마케팅하여 140조 이상 투자금이 모인 지금 기재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몰랐다고 머리에 똥만 가득찬 소리를 하고 국내 선도기업에서 이러한 횡포를 부리다니 금융소비자들이 나서 버릇을 고쳐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투자자들의 빗발치는 원성에 해당 운용사에서 미국대표지수 S&P500, 나스닥100 지수투자 ETF 총보수를 국내 최저로 인하 발표를 하였고 이에 질세라 경쟁 자산운용사에서 국내최저 총보수 인하를 확정하였습니다

 

또한 1월분 분배금이 덜 지급된 만큼 이자를 더하여 4월 분배금 지급시 모두 지급하겠다고 백기를 들었습니다

 

하지만 신뢰를 잃어버린 금융기관은 금융소비자들이 본때를 보여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요즘 금융소비자들이 금융기관 종사자들보다 더 금융IQ가 높다는 것을 일깨워 주어야 합니다

 

상장지수펀드(ETF) 운용보수(총보수)를 국내 최저로 인하 하였다고 ETF 를 거래하는 모든 비용이 국내 최저일지는 상기 언급된 기타비용, 매매중개수수료까지 검증해 보아야하고 이에 더하여 거래하는 증권사 거래수수료 등 비용까지 꼼꼼히 챙겨 0.01%라도 유리한 금융 소비를 하시기 바랍니다

 

펀드 운용 총비용 가장 저렴한 자산운용사
펀드 운용 총 비용 가장 저렴한 자산운용사는?

 

상장지수펀드 운용보수 기타비용 매매중개수수료

 

상장지수펀드(ETF) 거래 총 비용 = 총보수 + 기타비용 + 매매중개수수료

 

총보수는 ETF 운용, 판매, 수탁, 일반사무관리 등 자산운용사에 지불되는 비용이고 보통 최저 운용보수라고 마케팅하는 것을 말합니다

 

국내 포털에서 해당 ETF를 검색하면 누구나 쉽게 확인해 볼 수 있고 대부분 투자자들이 총보수만 확인하는 오류를 범하는 현실입니다

 

ETF 투자에는 총보수 이외 회계감사, 결제비용, 지수사용료 등 "기타비용" 이 발생하는데 해당 ETF 투자설명서 등에 눈에 보이지도 않는 작은 글씨로 공지하고 있는데 기타비용까지 확인하는 투자자는 거의 없습니다

 

운용 총보수, 기타비용 이외에도 자산 운용사에서 주식을 매수 매도하고 지수관리도 하므로 매매중개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총보수, 기타비용은 포털사이트나 펀드투자설명서 등에서 확인할 수 있으나 매매중개수수료는 사후에 결정되는 비용이라 투자자들이 먼저 확인후 투자할 수 없고 투자 이후 확인 가능합니다

 



 

ETF 총보수 기타비용 매매중개수수료 가장 저렴한 운용사 비교 조회방법

 

국내 운용하는 모든 펀드 운용에 발생하는 운용보수, 기타비용, 매매중개수수료를 자산운용사별, 펀드별 비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장지수펀드 총보수 및 기타비용 매매거래수수료 비교
상장지수펀드 운용보수, 기타비용, 매매중개수수료 비교 조회방법

 

국내 운용 모든 펀드 운용보수, 기타비용, 매매중개수수료 등 펀드 운용 비용과 펀드 실적(수익률) 은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조회하고 펀드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비교 조회 방법은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 홈페이지 상단 매뉴 펀드공시 -> 펀드 보수 및 비용 -> 펀드별 보수비용비교 순으로 클릭하여 국내 모든 펀드 운용 비용을 비교 조회할 수 있고 엑셀파일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펀드유형 "주식형" 으로 조회하니 현재 운용 중인 펀드는 7,036개로 집계되었고 운용보수 평균만해도 0.5519%나 발생하고 있습니다 

 

국내 대표 자산운용사 미국S&P500, 나스닥100 ETF 비용 비교

 

국내 대표 자산운용사 미국 S&P500, 나스닥100 비용 비교
미국S&P500 & 나스닥100 ETF 대표 자산운용사 비용 비교

 

국내 대표 자산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KB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4개 자산운용사에서 각각 운용 중인 미국 S&P500, 나스닥100 지수추종 상장지수펀드(ETF) 운용보수, 기타비용, 매매중개수수료를 합한 총비용을 비교 조회하여 보았습니다

 

미국S&P500 지수투자 4개사 ETF 총 비용 비교결과 4개사 상품 중 미래에셋에서 운용하는 Tiger 미국S&P500 총수수료 0.1381%로 현재기준 가장 저렴하게 운용되고 있고 삼성자산에서 운용하는 Kodex 미국S&P500의 경우 최근 운용보수 인하 경쟁으로 국내 최저 운용보수임에도 기타비용, 매매중개수수료를 합한 펀드 운용 총비용에서 4개사 중 가장 비싸게 펀드가 운용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하기 때문에 포털사이트 등에서 운용보수만 확인하고 펀드 운용 보수가 저렴하다고 선택하여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미국 나스닥100 지수추종 ETF는 미레에셋 Tiger 미국나스닥100 ETF가 총비용 0.1518%로 4개사 중 가장 저렴한 운용보수가 발생하였고 한국투자신탁 ACE 미국나스닥100 펀드는 총비용 0.1927%로 4개사 중 가장 많은 비용이 발생함을 확인하였습니다

 



 

연금, IRP 등 50~80년 평생 투자하는 장기 상품의 경우 수수료 0.0001% 차이도 수십년 지나면 총 수익률 차이를 크게 만들 수 있으니 반드시 운용보수가 가장 저렴한 운용사 상품을 고민해보아야 할 것입니다

 

미래에셋, 삼성자산운용에서 미국 대표지수 추종 ETF 운용보수인하 경쟁을 한 효과이고 조만간 KB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에서도 운용보수 인하 경쟁에 뛰어들 것으로 생각됩니다

 

자산운용사 펀드 운용 비용도 중요하지만 거래 증권사 거래 비용은 주식거래에 있어 더 큰 비용이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 주시시장 환경이 매매 빈도가 증가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거래비용 절감은 장기수익률에 큰 영향을 줍니다

 

거래 금액에 따라 HTS, MTS, ARS 등 거래하는 방법에 따라 주식거래 수수료는 매우 달라집니다

 

증권사 주식 거래 HTS MTS 수수료 제일 싼 곳은?

 

증권사 주식 거래 HTS MTS 수수료 제일 싼 곳은?

주식거래 비용 HTS MTS 수수료 가장 저렴한 증권사는? 재테크 투자 대상에 있어 주식투자는 누구나 계좌 몇 개 정도 개설하여 투자하고 있는 것이 일반화된 투자 방식인데 주식투자에 있어 HTS(홈

sanvital.tistory.com

 

 

미국 S&P500, 미국나스닥100 ETF 수익률 비교

 

미국 S&P500, 나스닥100 ETF 수익률 비교
미국 S&P500, 나스닥100 ETF 수익률 비교 - 자료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국내 운용 모든 펀드의 기간별 수익률을 자산운용사별 펀드별 비교하여 조회할 수 있고 엑셀파일로 다운로드 가능합니

 

 

각 자산운용사에서 운용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운용보수, 기타비용 매매중개수수료 등 총비용이 작다고하여 무조건 좋은 펀드라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시세차익이든 분배금이든 총 수익률이 높아 결과적으로 투자자에게 큰 수익이 생긴다면 운용보수. 거래비용 ,세금 등 부담되지 않을 것입니다

 

국내 대표 자산운용사 4개사 미국 대표지수 추종 ETF 6개월, 1년, 2년, 3년 기간별 수익률을 비교 조회하여 본 결과 미국S&P500 의 경우 한국투자신탁 운용 ACE 미국S&P500 ETF가 지속적으로 수익률 성과를 내고 있고 삼성자산 Kodex 미국S&P500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수익률 성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TR 상품이었음에도 ... 이해 안됨), 결국 펀드 운용 총 비용도 비싸고 수익률도 낮고??

 

미국나스닥100 지수추종 ETF는 3년 장기수익률에서 한국투자신탁에서 운용 중인 ACE 미국나스닥100 ETF가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KB자산운용 RISE 미국나스닥100 ETF도 비교적 좋은 수익률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과거의 수익률이 미래 수익률을 보증하진 않지만 장기투자 상품일수록 총 수익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펀드운용 비용을 감안하여야 하고 또한 장기 누적 수익률도 반드시 챙겨보아야 할 것입니다

 

매 분기 지급하는 분배금 또한 장기적으로 누적 분배금이 어떤 상장지수펀드가 분배금 수익률이 높은지도 함께 투자지표로 활용하여야합니다

 

다음 자료를 통해 미래에셋 Tiger 미국 S&P500 vs 한국투신 ACE 미국S&P500 장기 누적수익률, 누적분배금이 어떤 상품이 투자자에게 좋은 수익률을 선물 하였는지 확인해 보시면 흥미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연금 계좌 배당소득 과세 대응 방법 + ACE vs Tiger S&P500 ETF 장기수익률 비교

 

연금 계좌 배당소득 과세 대응 방법 + ACE vs Tiger S&P500 ETF 비교

연금 계좌 배당소득 과세 대응 방법 + ACE vs Tiger S&P500 ETF 분배금 및 수익률 비교 개인연금 및 퇴직연금(IRP)계좌는 연말정산 세제혜택과 매매 거래시 시세차익 및 분배금(배당금)에 대해 배당소득

sanvital.tistory.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