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식물관리사 약용식물학 본초(本草),중국의 본초학
● 본초(本草)
[정의]
본(本) - 나무뿌리 형태에서 근본
초(草) - 풀에서 상형된 풀초
한의학 약물중에 초본식물과 목본 식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문헌에 기록된 한약재 수는 약 6,000여 종이며 인간의 치병,약용에 사용되는 것이 500여종이다.
약용 한약재 500여종 중에서 85%는 식물이며 나머지 15%는 동물과 광물이다.자연의 천연산물인 식물,동물,광물 중 인체 질병치료에 있어서 원형대로 건조,절단하여 치료제로 사용하는 모든 약재를 말한다 (약용천연산물)
초본목피뿐만 아니라 동물성,광물성 약도 포함되어 있으나 대다수 초근목피로 되어 있다. 본초는 한약재라는 의미 이외에도 전통적인 본초 서적을 의미할 때도 사용된다.(신수본초,증류본초)
● 중국의 본초학(本草學)
[기원 및 발달과정]
제1기 제2기 제3기 제4기
전본시기 초창기 최성기 약리설 주체
선주시대 한진시대 증류본초 금원이후
[신농경본초경]
1. 동양에서 약에 관한 가장 오래된 문현
2. 신농 : 전설상의 인물(하루에 100가지 약초의 효능결정)
3. 신농 : 동양에서 본초의 창시자(신농본초경에 기재함)
4. 현재도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는 사실들이 수록
[한.진시대]
1. 화타,이귀지,오보 등이 약용식물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함(6세기초 양나라) 본초경집주 : 양나라 도홍경(명의별록과 본초경의 내용 수록)
약물 730종에 대해 수록되어 종류가 증가됨(본초학에 있어서 약물의 자연분류법의 효시) 약물의 채취시기,저장,보관,진위감별,포제방법,제약규범 등에 대한 설명 일관적으로 되어 있슴
2. 7세기의 당나라,개보상정본초,개보중정본초 : 고대의 의서들을 정리하여 재발간,경사증류비급본초 : 당신미가 편찬한 종합 약물학 서적
증류본초 : 중국 송시대를 전후하여 국가에서 몇차례 수정,조선시대 본초교과서로 사용,허준의 동의보감에 자주 인용
● 약용식물
식물중에서도 전체 또는 그 일부분이 사람의 인체나 기타 동물의 생체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지니는 것 또는 그런 긍정적인 효과를 지니고 있을 거라는 생각에서 사용되는 것 또는 지금 약재로 쓰이고 있거나 건강관리 예방에 돋 이용이 가능한 것 또는 유효성분이 과학적으로 규명된 자원식물이다.
● 한국의 본초학(本草學)
1. 고구려시대
(1) 의방 : 752년 당나라의 외태비요방(오수유,모과를 사용)
(2) 고구려인이 본초에 대한 지식이 높았다고 추정(지리학적 중국의 영향)
(3) 평원왕 3년(561년) : 본초서 수입(오나라의 지총이 고구려를 저쳐 일본까지 건너가서 귀화함)
(4) 신농본초경집주 : 양나라 도경이 편찬,고구려 인삼이 기록되어 있으며 지금의 만주지역에 해당하는 고구려 땅에 인삼이 자생하고 있슴을 알려주고 오래 전부터 소중한 약재로 취급되어 온 것이 확실시 됨
(5) 명의별곡 : 양나라 도홍경이 편찬,인삼의 뿌리는 길고 방풍뿌리와 비슷하고 맛은 달고 잎은 삼출 또는 오출이라 함
( 후세 사람들을 위해 외부형태학적인 기술을 함 )
2. 백제시대
(1) 약부라는 관부를 두고 채약사라는 관직을 둠
(2) 체계적인 약용식물의 감별과 채취,채취시기등의 약초에 대한 전반적인사항을 연구하는 전문인니 있었던 것으로 봄
(3) 지리적 입지 여건상 덕유산,백양산,계룡산,속리산 등지에 많은 생약자원이 분포 백제 인삼의 우수성을 입증
(4) 신농본초경집주 : 백제 인삼의 외형은 가늘고 길며 뿌리는 딱딱하고 유백색을 띄는 양종이라고 수록해 백제 인삼의
우수성을 입증
(5) 백제집성방 : 백제 본초학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의서가 일본에 수출한 증거가 됨(중국 진나라의 갈흥이 편찬한 주
후방 6권의 영향을 받아 저술)
3. 통일신라시대
(1) 신라시대 : 지리학적으로 본초서 도입이 어려운 상황(신라시대 고유의 상약 발전으로 삼국중 본초 발전이 가장늦음
(2) 신농본초경집주, 신수본초 : 신라의 약재가 소개되지 않음
(3) 신라법사방 : 통일신라때의 고유한 의서(약을 복용시 주문과 몸가짐에 대한 설명)
(4) 법사비밀방 : 말벌의 봉소인 노봉방(말벌집)을 기재
(5) 체계적인 의사의 양성 : 신문왕 의학의 설치
4. 고려시대
(1) 최고의 의료기관 : 전의사,봉의서(귀족 지배층의 건강관리)
(2) 서민을 위한 치료시설 : 동서대비원, 혜민국
(3) 의학 교육제도의 확대 : 과거제도
(4) 구선활인십방, 향약구급방 : 많은 의서중 현존하는 최고의 의서
(5) 향약(우리나라 약) : 고려시대의 독창성 발휘, 중국산,국내산 표기 시초
5. 18세기 이후
(1) 이제마 : 다년간의 임상실무와 학문연구(1894년 동의스세보원 저술)로 사상의학이라는 독창적인 의학이론을 수립
(2) 일본 식민통치 : 1910년 이후 36년간 의료제도와 한의학의 말살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