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구입부담지수,물량지수로 보는 주택시장 동향

 

지난 몇 년 간 글로벌 유동성으로 모든 자산이 버블을 형성하였고 특히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주택 가격은 2~3배 상승하여 이젠 월급쟁이가 정상적으로 월급을 모아 내 집 마련을 할 수 없는 시대를 맞이하였습니다.

 

2022년 들어 주식, 부동산 등 자산의 버블이 아주 조금은 걷히면서 향후 주택시장의 하락을 점치는 전문가들도 많아졌고 주택을 새로 구입하려는 사람들도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 같습니다.

 

주택금융공사에서 우리나라 중간소득 가구에서 주택구입능력을 연속적으로 파악하여 주택 및 주택금융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하니 주택구입 부담지수와 주택구입물량지수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주택시장 동향을 살펴보겠습니다

 

주택구입 부담지수(K-HAI, Housing Affordability Index)

 

주택구입 부담지수는 "중위소득 가구가 표준대출로 중간 가격 주택구입 시 대출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지수"라고 하네요

 

주택금융 상환부담 추이의 주요 지수이고 K-HAI는 지수가 낮거나 높을수록 주택구입 부담이 완화 또는 부담(가중)됨을 의미하는 지수입니다.

 

K-HAI = (대출상환 가능 소득 * 100) / 중간가구소득

 

지수 수치의 의미는 서울 K-HAI 90.1은 서울의 중간소득 가구가 서울 지역의 중간 가격의 주택을 구입할 경우 적정 부담액 (소득의 약 25% )의 90.1%를 주택구입 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으로 부담한다는 것으로 지수의 수치가 높을수록 주택구입 부담이 커지는 것을 의미(주택금융공사)

 

2022년1사분기 주택구입부담지수 - 출처 주택금융공사 금융통계시스템

 

2022년 1사 분기 주택구입 부담지수 전국 평균은 84.6으로 지난해 2021년 1사 분기부터 급격히 상승하며 주택구입에 있어 부담을 크게 가지게  되었습니다

 

급격한 주택 가격 상승에 대출금리인상( 2.45 ~ 3.84% ) 등 재정긴축에 따라 원리금 상환의 부담도 그만큼 커지고 있다는 반증이네요

 

주택구입부담지수(지역별)
주택구입부담지수(지역별) - 출처 주택금융공사

 

지역별로 살펴보니 특히 서울 203.7, 경기 115.6, 인천 94.4 등 수도권에서 버블이라 할 만큼 주택 가격 상승에 따른 큰 후유증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주택구입부담지수(주택규모별)
주택 규모별 주택구입부담지수 - 출처 주택금융공사

 

60㎡ 이하 소형 평형에 비해 135㎡ 등 큰 평형 주택일수록 구입에 부담을 가지고 있으며 서울 등 대도시 주택 가격을 상승을 감안하면 당연한 이치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주택구입물량지수(K-HOI, Housing Opportunity Index)

 

주택구입 물량지 수란 "전체 주택 중 중위소득 가구 구입 가능 주택 비율로 지역별 주택구입 가능 물량을 나타내는 지수"

 

 

K-HOI는 중위가구가 구입 가능한 주택수의 비율(0 ~ 100)로 주택구입 능력을 측정하는 지수로서 수치가 높거나 낮을수록 중위소득 가구 구입 가능한 주택물량이 많거나 작다는 의미로 10은 중위소득 가구가 해당 지역 조재 주택을 100% 구입 가능함을 의미합니다.

 

주택구입물량지수 도입 배경으로 미국에서 활용하고 있는 주택구입물량지수를 우리 실정에 맞게 적용 개선한 주택구입물량지수(K-HOI, 코이)를 신규 도입한 것임

 

K=HOI = (중위소득 가구가 구입 가능한 주택물량 * 100) / 전체 주택물량

 

지수 수치의 의미는 서울 K-HOI의 27.4가 의미는 서울의 중간소득 가구가 자기 자본과 대출을 통해 서울 전체 아파트 중에서 27.4%에 해당되는 아파트를 구입할 수 있다는 것으로 지수의 수치가 낮을수록 주택구입 부담이 커지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K-HOI가 높을수록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의 아파트 구입이 쉽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택구입물량지수
주택구입물량지수(전국, 평균) - 출처 주택금융공사

 

2022년 1사 분기 현재 전국 평균 주택구입물량지수는 44.6%로 2019년 65.6% 이래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으며 지역별 지수 또한 서울 지역의 경우 2.7%, 경기 26.2% 로 악화일로에 있습니다.

 

반면 강원지역 82.8%, 경북지역 84.2%로 비교적 상대적으로 양호하지만 악화되고 있음은 전국적으로 공통사항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 참고할만한 지난 글 ] - 좋은 경제성장과 착한분배 정책은?(자산분위,지니계수,GNI)

 

Closing Remarks

 

주택구입부담지수
주택구입부담지수와 주택시장 동향

 

주택구입 부담지수 ( 지수가 낮을수록 주택구입이 쉬움 ), 주택구입물량지수 ( 지수가 높을수록 주택구입이 쉬움 )에 대해 공부해 보았습니다.

 

서울의 경우 중간소득 가구가 서울 지역 중간 가격의 주택을 구입할 경우 적정 부담액의 203.7%를 주택구입 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으로 사용하여야 하고, 자기 자본과 대출을 통하여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의 중간 가격 아파트를 구입할 수 있는 경우가 2.7%밖에 되지 않는다는 현상은 절망적인 지표입니다.

 

자신이 벌어들이는 수입의 203.7%를 원리금 상환에 서야 한다는 것은 사실상 내 집 마련의 꿈은 포기하고 말 그대로 꿈속에서나 상상해볼 수 있는 세계가 되었네요

 

주택공급 물량이 가구수보다 훨씬 많지만 주택 보유 가구는 5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은 그만큼 다주택 소유자가 많다는 사실이고 정부마다 200 만호니 250 만호니 공급을 늘려 보아도 2.7%만이 자기 자본과 대출을 통해 구입할 수 있는 현실이니 결국 다주택 소유자들의 줍줍 잔치일 뿐입니다.

 

이러함에도 다주택 소유자들이나 고급, 고가주택 소유자들에게 파격적인 감세정책을 펴는 정부는 제정신인지 묻고 싶습니다.

 

더 이상 인간의 본능 의(衣), 식(食), 주(住) 중의 하나인 주택으로 남의  눈물로 내 배를 불리는 사람들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강력한 조치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의 자산을 불리는 행위가 잘못된 것은 아니고 무주택자에게 누가 주택 구입하지 말라고 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국가 경제의 성장과 함께 분배정책 또한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과제입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