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밸류업 지수 ETF 투자 정보(배당주기,기준일,총보수) 비교

 

코리아 밸류업 ETF(상장지수펀드) 상품은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대부분 국가들이 역사적 신고가를 기록하며 연일 상승하는 증시 흐름속에서도 낮은 PBR, ROE로 장기간 코리아 디스카운트(저평가) 받고 있는 한국 증시에 밸류업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가치 제고에 참여하는 기업에 선별하여 투자하는 상품으로 2024년11월4일 신규상장하여 운용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전쟁하고 있는 나라보다 형편 없는 증시 성과를 내고 있는데 남들 오를 때 오르지 못할지언정 오르는 척이라도 해야할 것인데 반대로 큰폭의 하락을 면치 못하고 있으니 이는 무엇보다 국가 운영 시스템 및 프로세스를 회복불능으로 망가트린 정부의 책임이며 국민들의 부의 사다리를 걷어차 버리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코리아 밸류업 ETF수수료 배당주기 비교
코리아 밸류업 ETF 투자정보 바로알기

 

코리아 밸류업 ETF 운용사별 수수료,배당주기,기준일

 

ETF명 운용사 배당주기 배당기준일 총보수(%)
Tiger  미래에셋 매월말 0.008
Kodex  삼성자산 매월말 0.009
RISE  KB자산 매월15일 0.008
Plus  한화자산 매월15일 0.009
KOSEF 키움투자 분기 1,4,7,10월말 0.01
HANARO NH-아문디 분기 1,4,7,10월말 0.03
SOL TR 신한자산 - - 0.05
KoAct 삼성액티브 분기 1,4,7,10 0.5
TRUSTON 트러스톤액티브 분기 1,4,7,10 0.785
TIMEFOLIO 타임폴리오액티브 분기 1,4,7,10 0.8

 

 

신규상장일은 모두 2024.11.4일, ETF명은 코리아밸류업(브랜드명 + 코리아밸류업)이고 크게 패시브ETF와 액티브 ETF로 구분되고 배당주기는 각각 월, 분기 또는 SOL 코리아배류업TR의 경우 배당금 재투자로 배당금 지급은 하지 않습니다

 

배당 기준월은 월배당 상품의 경우 매월15일, 월말 기준이고 분기 배당 상품은 1,4,7,10월말 기준입니다

 

총보수의 경우 패시브 ETF의 경우 0.008% ~ 0.009%로 비슷한데 키움투자자산 KOSEF 코리아밸류업 상품의 경우 0.01%로 총보수면에서 유리한 상품일 수 있습니다

 

액티브 ETF의 경우 패시브 상품에 비해 증시 변동에 따라 적극적으로 구성종목이나 비중을 조절함으로써 초과 상승 또는 하락시 방어를 하는데 이러한 비용으로 인해 총보수는 상당히 높은편이니 투자자 입자에서 면밀히 검토하여 투자상품을 선정하여야 할 것입니다

 



 

코리아 밸류업 상장지수펀드(ETF) 상위 Top10 종목 비중

 

코리아 밸류업 ETF 구성종목
코리아 밸류업 지수 상위 비중 Top10 구성 종목 - 자료 KB자산운용

 

코스피 200 지수와 (Kodex200, Tiger200 등..) 비교할 때 삼성전자 비중이 현저히 작아졌음을 알 수 있는데 다른 종목 구성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듭니다

 

최근 삼성전자 폭락을 감안하면 삼성전자 비중이 작은 것이 다행일 수 있으나 신규 투자를 한다면 삼성전자를 저가에 매수 적립할 기회를 잃을수도 있는 것이니 장기적인 안목에서 산업 변화를 잘 읽어야 할 것입니다

 

정책적으로 개발하여 상장된 ETF인만큼 총보수는 저렴하지만 종목 구성이 코스피 200과 크게 다르지 않아 그냥 무나하게 코스피200 추종 ETF를 매수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국내상장 미국ETF투자는 이번글에서 논외로 함)

 

코리아 밸류업 지수의 주요 특징

 

코리아 밸류업 지수는 상장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하여 기업 가치를 높이는 계획을 수립하고 이행 성과에 따라 우수 기업으로 선정될 수 있습니다

 

기업들이 매 년 자본효율성, 주주환원, 수익성 드을 평가하고 이를 공개해야 하며 지속적으로 성과를 개선하여 우수 기업으로 선정된 기업들은 거래소 공시 우수 법인 드으로 인정받거나 투잦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코리아 밸류업 지수의 핵심은 ROE(자기자본수익률)입니다

 

ROE 지표 개선을 위해 분자인 순이익이 증가하거나 본무인 자기자본의 효율적 운영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잉여현금흐름을 활용한 현근배당 및 자사주 매입, 소각으로 자본 효율성을 높이는 주주환원 확대를 할 수 있습니다

 

밸류업 지수 핵심 ROE
배류업 지수 핵심지표는 ROE입니다 - 이미지 KB자산운용

 

코리아 밸류업 지수 산출 방법

 

코리아 밸류업 지수는 총 5단계로 종목을 스크리닝 하게 됩니다

 

  • 시장 대표성 있는 기업으로 시가총액 상위 400위 이내인 종목
  • 수익성으로 2년 연속 적자 또는 2년 합산 손익 적자 기업 제외
  • 주주환원 정책으로 최근 2년 연속 배당 또는 자사주 소각을 실시한 기업
  • 2년 평균 PBR이 전체 또는 산업군의 50%이내인 종목으로 한정
  • 자본효율성(ROE) 지표를 기준으로 2년 평균 ROE가 산업군별 상위 100종목 기준으로 종목을 스크리닝

 

코리아 밸류업 지수 5단계 스크리닝
코리라 밸류업 지수 5단계 스크리닝 과정 - 자료KB자산운용

 

코스피 및 코스닥 시장 상장 기업 중 위와 같이 5단계 스크리닝 과정을 통해 수익성, 주주환원, 시장평가 및 자본효율성이 우수한 100개 기업으로 코리아밸류업 지수 종목이 구성됩니다

 

코리아 밸류업 지수와 코스피200 지수와 차이점

 

코스피 200 지수는 한국의 대표적인 시가초액 사위 200개 기업을 포함하는 시장대표지수로 시장 전반의 흐름을 반영하는 종합적인 지수로 성장성이나 수익성보다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된 보통주 중 시장대표성, 산업대표성, 유동성 기준으로 선정된 200종목으로 구성

 

코리아 밸류업 지수는 시장대표성, 유동성과 같은 규모 요건 이외에 수익성, 주주환원, 시장평가,자본효율성 등 다양한 질적 요건과 상품서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된 100 종목으로 구성

 

종목 비중에 있어서도 개별종목의 지수내 비주을 15%로 제한하여 한 종목 쏠림을 방지(코스피 200 지수의 경우 삼성전자 23~25%, 코리아 밸류업 지수는 현재 11~12%)

 

Outro

 

국내상장 미국 지수 ETF 투자는 이 번 글에서 논외로 하더라도 코스피200 지수추종 ETF와 코리아 밸류업 지수추종 ETF 상품 투자 선택에 있어 정답은 없을 것이며 각자 자산, 소득 수준이나 나이, 자산배분 등을 감안하여 최적화해야 할 것입니다

 

코리아 밸류업 지수 ETF 상품 내에서도 월배당, 분기배당 상품의 차이가 있고 총보수 또한 투자 선택에 있어 장기투자일수록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외 자산 운용사별 자산규모, 일거래량, 거래수수료 우대,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현명할 것입니다

 

주식투자지표 EPS,DPS,PBR,ROE 용어정리

 

주식투자지표 EPS,DPS,PBR,ROE 용어정리

주식투자지표 EPS, DPS, PBR, ROE 용어 정리 주식의 가격이 고평가이냐 저평가이냐의 밸류를 평가하여 가치주를 판단하고 투자를 결정함에 있어 주당순이익(EPS),주가순자산비율(PBR), 주가수익배수(PE

sanvital.tistory.com

국내상장 미국 ETF와 SPY,QQQ 직투 유리한 투자는?

 

국내상장 미국 ETF와 SPY,QQQ 직투 유리한 투자는?

국내 상장 미국 ETF와 SPY, QQQ 직투 유리한 투자는? 예전에 제가 국내 Kospi 시장과 미국 S&P500, NASDAQ 시장 어디에 투자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성과가 좋을지에 대해 정리한 적 있습니다. 내용을 먼저

sanvital.tistory.com

미국 S&P500 지수 ETF 수수료 수익률 비교(SPY VOO IVV SPLG)

 

미국 S&P500 지수 ETF 수수료 수익률 비교(SPY VOO IVV SPLG)

미국 S&P500 지수 ETF 수수료 수익률 비교(SPY VOO IVV SPLG) 미국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에는 미국 주식시장에 직접 투자하는 SPY, VOO, IVV, SPLG 등이 있고 국내 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있

sanvital.tistory.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