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철강재 생산기업 밸류체인 및 강종별 특징 용도

 

국내 철강산업은 중국산 저가 공세와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관세부과 정책으로 이중고를 고스란히 맞으며 매출, 영업이익 측면에서 큰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철강재 강종별 특징과 용도를 공부하고 철광석, 고철 원재료가 어떤 제조공정을 거쳐 철강재로 생산이 되는지와 각 강종별 주요 생산기업 밸류체인을 정리해봅니다 

 

국내 철강소재 생산기업 밸류체인 및 강종별 용도
국내 철강재 생산기업 밸류체인 & 강종별 특징 & 적용제품

 

철강재 강종별 특징 및 용도

 

아연도금강판 강종별 특징 및 용도

 

용융아연도금강판(GI)은 냉간 압연된 코일을 연속용융아연도금(CGL)라인에서 열처리하여 요고되는 지잴을 확보한 후 아연욕을 통과시켜 도금 처리한 제품으로 도금을 두껍게 부착할 수 있어 내식성이 우수한 강종으로 가전제품, 자동차, 건축자재, 도장강판소재 등에 주로 사용합니다

 

열간아연도금강판(HGI)은 열연 원판 표면에서 용융상태의 아연이 응고하는 동안 미세한 결정립을 형성하여 내식성을 호가보한 제품으로 용도는 용융아연도금강판(GI)과 거의 동일한 제품에 사용됩니다

 

합금화아연도금강판(GA)은 소재판과 아연이 열에 의해 확산되어 합금화된 도금층이 합성된 제품, 아연도금강판에 비해 용접성 및 도전성이 우수하고 합금층의 Fe  성분으로 인해 도장 후 내식성이 우수한 강종으로 GI, HGI 마찬가지로 가전제품, 자동차 부품에 주로 적용합니다

 

전기아연도금강판(EGI)은 전해법으로 냉연원판 표면에 아연 피복을 입혀 내식성을 높인 제품으로 용융아연도금 처리한 제품보다 도금 부착량이 적고 균일하며 표면이 평탄하여 내지문 처리, 인산염 처리, 흑색수지 처리 등 다양한 후처리가 용이한 강종으로 도장성, 내식성, 용접성, 가공성이 매우 우수한 강종, 가전, 가구용 소재로 많이 적용됩니다

 

알루미늄 아연도금강판(GL)은 아연의 장점인 방식성 및 내알칼리성과 알루미늄의 장점인 내구성, 내열성, 내산성을 가장 이상적으로 결합시킨 알루미늄(AL) -아연(Zn) 합금용융도금강판, 건축외장재 및 벽체, 온돌판넬, 파이프, 배전반판넬, 보일러, 가전제품 등 널리 적용됩니다

 

칼라강판(PCM)

 

  • 칼라강판(PCM) 특징 - 베이스 메탈위에 도료, 필름 등 여러 종류의 물질을 부착 및 도장하여 다양한 칼러와 문양을 가지는 강종으로 우수한 표면 및 높은 광택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내식성이 뒤어나 다양한 칼러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칼라강판(PCM) 강판 주요 용도는 냉장고, 세탁기, TV, 에어컨 등 가전제품의 외장재, 샌드위치판넬 등 건축자재

 

냉간압연강판(CR)

 

  • 냉간압연강판(CR) 특징은 산세공정을 통해 열연코일 표면에 생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고 압연으로 얇게 압연한 후 소둔(Annealing) 열처리한 제품으로 뛰어난 표면 향상과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추어 자동차, 가전제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강종
  • 냉간압연강판(CR) 주요 적용 용도는 가전제품, 드럼, 가구, 자동차부품, 산업자재, 전기도금 원자재 등 다양하게 적용합니다

 

열간압연강판(HR)

 

  • 특징 - 선철을 녹여 탄소성분을 제거한 후 가공해 만드는 제품을 말함, 일반적으로 800 ~ 1,250℃ 고온에서 압연함
  • HR용도 - 자동차, 배전반, 일반기계

 

스테인레스강판(ST)

 

  • 스테인레스강판 특성으로는 철(Fe)의 최대 결점인 부식성을 개선한 목적으로 제조한 내식성 강종을 말함, 스테인레스 강판은 표면이 미려하여 건축 내외장재, 가전제품, 자동차 부품 등 다양한 산업분야 제품에 이용됩니다
  • 스테인레스 강판 적용 제품은 프리미엄 가전제품 외장재, 주방기기, 건축자재, 화학설비 등에 널리 쓰입니다

 

후판

 

후판 철강 소재는 열간압연강판 중 두께 6mm 이상 강판을 후판이라 분류하고 일반용 후판은 주로 교량, 차량, 대경강관용, 구조물, 압력용기 등 중대형 기게설비에 적용하는 후판과 조선용 후판으로 선박제조에 사용하는 후판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후판 주요 용도는 선박, 보일러, 압력용기, 교량 등 대형 구조물과 금형재료에도 널리 적용합니다

 

 

 

 

 

국내 철강소재 제조공정 및 강종별 생산기업 밸류체인

 

철강재 제조공정 및 국내 철강소재 생산기업 밸류체인
철강재 제조공정 및 국내 생산기업 밸류체인 체계도

 

철강재 생산 공정은 크게 제선 -> 제강 -> 연주 -> 압연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철광석 + 원료탄을 소결, 코크스 공정을 통해 고로 -> 2차정련 -> 연속주조 -> 슬래브 ->압연 공정을 거쳐 표면처리 등 후처리를 통해 강종별 상세 분류됩니다

 

철강재 강종별 주요 생산기업

 

  • 냉연강판 -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동부제철
  • 아연도강판 - 포스코, 동국제강, 세아제강, 현대제철, 동부제철 외
  • 칼라강판(PCM) - 동국제강, 포스코강판, 세아제강 외
  • 석도강판 - TCC, 동부제철
  • 후판 -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 선재 - 포스코, 세아베스틸, 세아특수강 외
  • 봉강 - 동일산업, 한국특수형강,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베스틸 외
  • 형강 - 한국특수형강, 현대제철, 동국제강 외
  • 철근 - 대한제강, 한국철강, 현대제철, 동국제강 외

 

철강재 기업 매출향상에는 글로벌 경기 활성화가 최우선이지만 수요와 공급 원리에서 수급상황은 가격 결정에 절대적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산업전반에 널리 이용되는 금형제작에 있어 이미 10년 이상 오래전부터 중국산 철강재(후판)로 제작하는 것은 일반화된 시장 상황이고 가전, 자동차 부품의 경우 삼성, LG, 현대자동차 등 국내 주요 제조기업에서 발주할 때 특정기업에서 생산된 강종, 그레이드 등 세부적인 스펙을 사용할 것을 인증하고 강제하지 않는 이상 가격을 저렴하게 공급하는 기업 원소재를 사용하는 것은 기업 이익 측면에서 당장 눈 앞에 보이므로 현실적으로 국내 철강기업 시황은 밝지 못한 현실입니다

 

국내 철강재 제조 기업에서도 가전, 자동차 대기업이 강제로 협력사에 소재 인증에만 기댈것이 아닌 글로벌 어던 기업보다 우수한 품질의 소재 생산을 하여야 하며 철강재를 구입하는 많은 중소기업에 울트라 슈퍼 을질하는 행위가 근절되어야 할 것입니다

 

철강재 강종별 특징과 적용제품 용도 및 국내 철강재 제조공정과 생산기업 밸류체인 체계에 대해 공부해 보았습니다

 

철강재 생산기업에서부터 가전, 자동차 제조 대기업 그리고 철강재를 프레스 가공 등 직접 사용하는 중소기업까지 모두가 샹생협력하는 문화가 정착되어야겠습니다

 

비철금속 강종별 특성 및 철강재 중량 계산 방법

 

비철금속 강종별 특성 및 용도 (스테인레스,알루미늄,동합금)

 

비철금속 강종별 특성 및 용도 (스테인레스,알루미늄,동합금)

비철금속 강종별 특성 및 용도(스테인레스,알루미늄,동합금) 2021년 경기회복에 따라 경기민감주들의 주가가 원자재 가격상승에 따른 실적 회복을 많이 상승하고 있고 원자재 수급 도한 어려움

sanvital.tistory.com

 

동(구리)합금 비중 및 전기전도도 화학성분표,중량환산

 

동(구리)합금 비중 및 전기전도도 화학성분표,중량환산

동(구리)합금 비중 및 전기전도도,화학성분표,중량환산공식 동(구리,Cu) 합금 사용시 비중이나 중량을 계산할 업무가 많이 발생하고 배전반이나 전선 등에 사용되는 구리의 특성상 전기전도도가

sanvital.tistory.com

 

LME 런던금속거래소 원자재 비철금속 시세알기

 

LME 런던금속거래소 원자재 비철금속 시세알기

LME(런던 금속거래소)를 통한 비철금속 원자재 시세 알고 주식투자 활용 최근 원자재 급상승으로 많은 기업의 원가부담 압박이 가중되고 원소재의 안정적인 수급 목적으로 핵심 구매담당이 원소

sanvital.tistory.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