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용기 1회용컵 보증금 반환 지원제도 이용 방법
빈용기, 1회용컵 보증금 반환 지원 제도는 소비자가 부담하는 빈용기, 1회용컵 보증금과 빈용기 재사용 생산자(제조기업)가 부담하는 취급수수료라는 경제적 유인을 통해 빈용기 회수 및 재사용을 축진시키기 위한 제도인데 얼마되지 않은 보증금으로 소비자들도 관심이 없고 빈용기 보증금 반환 받으려 매장을 찾으면 자신이 판매하지 않은것이라 외면하며 밤환하지 않는 현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업소들만 이득보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빈용기 보증금 대상 사업자
재사용을 목적으로 빈용기 보증금 부과대상은 소주, 맥주, 청량음료 등 14개 빈용기 재사용 생산자의 100여종 이상 제품에 보증금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 소주 - 금복주, 보해양조, 대선주조, 신세계엘앤비, 선양소주, 충북소주, 롯데칠성, 하이트진로, 무학, 한라산
- 맥주 - 롯데칠성, 오비맥주, 하이트진로
- 청량음료 - 롯데칠성, 일화, 코카콜라
빈용기 재사용 과정
생산/재생산 -> 판매 -> 소비단계 -> 빈용기 반환 및 보증금 환불 -> 회수단계 -> 주류,식음료기업 운반단계 -> 살균,세척
빈용기 보증금 및 취급수수료 지급관리 프로세스

빈용기 반환 지원제도 보증금액 및 이용 방법
규격 | 190ml 미만 | 190~400ml 미만 | 400~1천ml 미만 | 1천ml 이상 |
보증금/개 | 70 | 100 | 130 | 350 |
도매수수료 | 20 | 23 | 24 | |
소매수수료 | 12 | 13 | 14 |
- 소비자 - 제품을 구입할 때 일정 금액 보증금을 부담하고 사용한 빈용기를 도.소매점에 반환하면 보증금을 환급받습니다
- 생산자 - 보증금이 포함된 제품을 제조하고 반환받은 빈용기를 재사용하며 소요되는 비용(취급수수료) 등을 부담
- 정부 - 보증금 부과대상 비용, 관리방안을 법령으로 정하고 있습니다(우리나라는 1985년부터 보증금 제도를 시행 중)
- 도.소매업자 - 소비자로부터 회수된 빈용기를 반호나하며 반환과정에서 소요되는 보관과 운반 등 비용에 대하여 취급수수료를 지급 받습니다
※도.소매 취급수수료가 있어도 가정집에서 소량 가져갔을 때 회수하는 소매점 본적이 없으며 면박이나 안주면 다행인 점은 미회수 신고 및 과태료 부과, 상습자는 영업정지 등 강력한 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식당 등 업소에서도 술값에 보증금 모두 포함되었어도 계산할 때 정산하는 곳 본적 없는데 오히려 몇 푼 안되는 돈이다 뭐 취급당하죠(역지사지 하면 몇푼 안되는 돈 가지고 이득취하려나요?)
소비자 직접 반환율(가정용) 회수율은 2023년 현재기준 65% 정도에 머물고 있네요(나부터도 생활쓰레기 버릴 때 재활용 함에 그냥 넣음)
가까운 곳에서 빈용기를 반환할 수 있는 도.소매점 조회는 아래 링크로 접속하면 도소매점 지도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빈용기 반환 | 반환지원서비스 :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
자원순환보증금제도와 관련한 조사ㆍ연구, 제도개선 지원, 교육 및 홍보 활동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www.cosmo.or.kr
도.소매점을 찾아 빈용기 반환하기 번거로우면 집주변 대형 매장이나 기타 도소매점, 공공기관 등 빈용기 자동회수 기계가 설치된 곳이 있으니 편하게 이용하여 빈용기 보증금 돌려 받으시기 바랍니다
유럽 지역은 빈용기 자동 반환기 설치가 많이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았는데 우리나라도 빈용기 자동 반환기를 많이 설치하였으면 합니다
빈병 보증금반환 제도 공병 무인회수기 설치 위치 사용방법
빈병 보증금반환 제도 공병 무인회수기 설치 위치 사용방법
빈병 보증금반환 제도 공병 무인회수기 설치 위치 사용방법 소주, 맥주, 음료를 구입할 때 마시고 나서 빈병을 반납하면 빈병 규격에 따라 일정금액의 보증금을 환불해 주는 빈용기 보증금 제도
sanvital.tistory.com
1회용 컵 보증금 300원 반환제도

1회용 컵 보증금 반환제도는 커피전문점 등에서 음료를 주문할 때 1회용 컵에 일정 금액의 자원순환 보증금 300원을 부과하고 소비자가 사용한 컵을 반납하면 보증금을 그대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1회용컵 보증금 반환 제도는 2022년12월2일부터 선도지역(제주, 세종)에서 시행중으로 자원순환보증금을 포함한 음료 구입후 1회용컵 보증금제도 적용매장에서 1회용 컵을 반환하면 자원순환 보증금 300원을 돌려 받습니다
1회용컵 반환제도 프로세스
1회용컵 보증금을 포함한 음료 구입 -> 음료를 다 마신후 1회용컵을 구입매장(동일브랜드 가능) 또는 매장외 반납처 등에 반납 -> 반납전 내용물 비우고 부속물 배출(빨대, 컵홀더, 뚜껑, 잔여음료 등) -> 자원순환 보증금 앱의 소비자 바코드와 컵의 바코드를 순서대로 보여주고 컵을 반납 -> 보증금 수령(자원순환보증금 앱/ 현금)
1회용컵 보증금 대상사업자
비브라더스, 공오일, 공차코리아, 뉴욕핫도그앤커피, 다날에프앤비, 다도글로벌, 달리는커피코리아, 더본코리아, 더쉐프, 만랩맘스터치앤컴퍼니, 매머드커피랩, 맥스원이링크, 메가쓰리팝, 벌크커피, 봅봅, 비케이알, 비케이컴퍼니, 샤마, 앤하우스, 에스엔큐플러스, 현진홀딩스, 우주에프앤디, 이디야, 이랜드이츠, 재원푸드, 컴포즈커피, 진심코리아, 청자다방, 커피베이, 커피빈코리아, 커피에반하다, 타이웨이, 탐앤탐스, 파리크라상, 팔공티, 하삼동, 희천, 써브웨이, 비알코리아, 스무디킹코리아, 씨제이푸드빌, 엠즈씨드, 쮸씨, 투썸플레이스, 티에고, 한국맥도날드, 삼성물산 애버랜드리조트 외 다수
※ 제외매장 - 면적 10㎡ 미만 매장, 자동판매기를 통해 무인으로만 영업하는 매장, 공항, 항만 보세구역 내 매장, 면 지역 또는 섬 발전 촉진법 제2조에 따른 섬에 소재한 매장
※ 빈용기 & 1회용컵 보증금 반환제도에 대한 본문 내용은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 홈페이지 내용 위주로 작성하였으므로 상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참고 바랍니다
재활용품 &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 기준
일상생활 중 발생하는 재활용품, 음식물 쓰레기 중에 어떤 품목이 재활용품인지 일반쓰레기인지 구분하기 모호한 경우가 많고 재활용품으로 분리배출하는 방법도 헷갈리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더 헷갈리는 것은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인데 계란, 과일껍질은 음식물 쓰레기인지? 아닌지? 애매한 경우가 한 두번이 아닙니다
음식물 쓰레기인데 잘 모르고 일반 쓰레기로 버리고 망신 당하고 과태료 물어내지 말고 공부해 알아 두시기 바랍니다
재활용품 분리배출 방법(종이,금속캔,유리병,폐가전)
재활용품 분리배출 방법(종이, 금속캔, 유리병, 폐가전, 플라스틱) 일상생활 속에서 자원을 절약하고 재활용하는 일에 동참하는 것은 재활용품, 쓰레기 분리수거 활동이 출발점인데 실제 분리하
sanvital.tistory.com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 기준, 과일껍질 육류뼈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 기준, 과일 껍질, 육류 뼈, 유해폐기물 일상생활에서 귤껍질, 바나나 껍질 등 과일 껍질, 닭뼈, 생선뼈 등 육류 뼈, 기타 음식물류 폐기물을 처리하려고 보면 음식물 쓰레
sanvital.tistory.com